-
[22.12.06] TILTIL 2022. 12. 19. 21:10
json에 대해 보충강의를 듣다
fetch('https://jsonplaceholder.typicode.com/todos/1') .then((res) => res.json()) .then((data) => { console.log(data); });
이 문구만 봤을 때 음..뭐지 이해가 잘 되지 않았는데, 어제 보충수업을 통해 완벽히 이해해버렸다.
fetch 는, json에서 프로미스 형식의 객체로 자료들을 가지고 오려고 사용한다.
첫번째 then은, fetch에서 자료들을 정상적으로 다 가지고 왔을 때 실행된다.
첫번째 then이 실행될 때 (res) => res.json() 은
가지고온 자료 중에서 body 부분만 따로 프로미스 형식의 객체들로 추출하는 함수이다.
두번째 then은, 첫번째 then의 함수가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면 실행되는 함수이다.
두번째 then의 (data)=>{console.log(data)} 는
첫번째 then에서 body부분을 프로미스형식의 객체로 전부 가지고 오게되면 그것을 data에 담아 콘솔에 출력하라는 문구이다.
그러니 data는 첫번째 then에서 실행되어 추출된 자료 그 자체인것이다.
배우고 나니 참 쉽다.'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2.12.08] TIL (0) 2022.12.19 [22.12.07] TIL (0) 2022.12.19 [22.12.05] TIL (0) 2022.12.19 [22.11.30] TIL (0) 2022.12.19 [22.11.23] TIL (0) 2022.12.19